QUICK DBD 사용 후기
우리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테이블 생성을 필요로 한다. 이 때 사용하는 ERD 툴은 그려진 관계도에 따라서 테이블 생성 구문을 자동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 이 때 이용하는 것이 바로 DDL 이다.
* SQL 은 우리가 컴퓨터의 프로그램 언어 처럼 DB 에서의 프로그램 언어인데,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로 DDL, DML, DCL 로 나뉜다. 이 때 DDL(Data Definition Language) 은 데이터 정의어,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은 데이터 조작어, DCL(Data Control Language)은 데이터 제어어 라고 한다.
우리는 간편하게 ERD Tool을 이용하여 테이블과 관계 등을 설정하면 ERD Tool 에서 DDL 구문을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 ERD 란 Entity-Relationship Diagram의 약자로 구조화된 데이터에 대한 일련의 표현방법이다. 따라서 우리가 만드는 데이터베이스를 표현해주는 방식이다.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간의 데이터를 공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매개체이다.
최근에 라이징캠프를 하면서 Aquery Tool을 사용하였는데 Aquery Tool이 10월 1일부터 유료화가 된다고 한다. 그래서 따로 방법을 찾다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Quick DBD 를 사용하게 되었다.
사용하는 방법은 GUI인 만큼 Aquery Tool 못지않게 편리하다. ERD 툴 중에서도 가장 편리한 것들 중 하나인 것 같다.
위 사진은 왼쪽칸에 내가 임의로 테이블을 작성한 예시이다. 최초에 사용할 때에는 왼쪽에 테이블 작성 예시들이 이미 나와있기 때문에 그것을 보고 따라하면 매우 간단하다. 우선 테이블 명을 입력하고 "----" 으로 짝대기(?) 를 그어주면 테이블 명과 컬럼명을 구분하게 된다. 그 이후에는 컬럼을 입력할 수 있는데 앞에는 컬럼명이 오고 뒤에는 Type, Primary Key, NULL 값 여부 등이 오게 된다.
내가 과제로 짜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배달의민족 어플리케이션인데, 생각보다 테이블도 많고 적용해야할 기능이 있어 어렵다고 생각이 들었다. 메뉴부터 시작해서 주문, 고객, 가게 등등 이러한 여러가지 테이블을 만약 ERD Tool 없이 전부 다 DDL을 입력하여 만들었으면 얼마나 오래걸렸을지 상상이 안간다..
그렇게해서 테이블을 다 만들어주게 되면 -> 이런 식으로 관계를 설정할 수있다. 각 외래키를 연관된 키와 연결시켜주면 된다. 이를 통해서 1 대 N, N vs 1, N vs N 관계들을 쉽게 설정할 수 있고, Table 들의 관계를 가시적으로 간편하게 만들어 준다. 위 사진을 보면 store Idx 라는 컬럼 끼리 연결해 준 모습이다. 이건 그냥 하나의 예시를 보여주기 위해 임의로 만든 테이블이다. 서로 다른 칼럼을 또 연결해 N vs N 관계 또한 형성해 줄 수 있다.
이제 내가 만든 테이블을 DDL로 구문을 만드는 과정이 있는데 위에 메뉴 탭을 보게되면은 EXPORT 라는 칸이 있다. 이를 통하면 다양한 파일명으로 변환을 하여 EXPORT 할 수 있는데, 종류에는 ANSI SQL, MySQL/MariaDB, Oracle, PostgreSQL, SQL server 등을 지원하며 이 외에도 PDF, Word, PNG, SVG 같은 이미지 파일로도 변환하여 공유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Import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SQL파일들을 받아서 직관적인 테이블 모습을 보여주는 기능 또한 편리한 거 같다.
여러가지 ERD 툴 중에 Aquery Tool 만 보고도 비교를 하자면 Aquery Tool의 무료버전은 5개의 Table 만 지원을 하는 반면에 이 Quick DBD 는 기본적으로 10개부터 지원을 해준다. 또한 500자의 단어를 포함한 리뷰를 작성하게 되면 1년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준다하니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Aquery Tool 을 사용할 때는 좀 어지러운 측면이 있었는데 Quick DBD 는 테이블의 색깔도 바꿔줄 수 있고 이 기능 저 기능을 다 보유한 거 같다.
사용링크는 https://www.quickdatabasediagrams.com/ 이다. 무료버전 중에서는 제한사항이 Aquery Tool 과 비교하였을 때 덜 제한적이며, 현재 리뷰이벤트를 통해 1년간 무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니 Aquery Tool 의 결제를 고민하고 있다면 한 번 써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 같다. 이벤트가 언제 끝날지 모르니 빨리 참여하면 좋을 거 같다.